1.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
입:
구강(저작 기능)
저작 기능이란 씹는 기능을 말한다.
침, 프티알린
인두:
음식물 + 공기 통로
식도:
연동운동(25cm)
소화액은 나오지 않는다.
위:
분문부 괄약근(식도 ~ 위)
유문부 괄약근(위 ~ 십이지장)
펩신(위에서 나오는 단백질 소화효소)
소장:
6~7m
소장에서는 분절운동, 십이지장(연동운동), 공장, 회장.
말타아제(엿당), 락타아제(젖당), 인베르타아제(자당), 에렙신(단백질소화효소)→펩티디아제, 트립신.
대장:
1.5m
맹장 (5~6㎝), 결장 (상행-횡행-하행-S자), 직장(20㎝): 변의를 느낌.
소화효소는 없고 수분만 흡수, 연동운동.
항문:
대변 배출
2. 간, 담즙, 췌장
간:
담즙을 생성한다.
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지며 지방을 유화한다.
담낭:
담즙을 농축해서 저장한다.
췌장:
외분비샘과 내분비샘의 기능을 모두 하는 신체기관.
3. 주요 질환
역류성 식도염:
작열감, 방사통, 식후통증.
규칙적인 식사, 소량으로 자주 섭취.
충수염:
금식, 체온 자주 측정, 냉요법.
관장 금지, 진통제 금지, 열요법 금지.
합병증으로 복막염이 올 수 있음.
장염:
1~2일 절식 → 수분 공급 → 유동식(미음 or 죽) → 경식 → 일반식(밥).
대장암:
호발부위: 직장, S상 결장.
증상: 혈변,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나타남.
수술, 화학요법, 방사선요법 병행.
4. 결장루 수술 환자의 간호
장루의 색깔이 적갈색, 보라색, 검은색일 경우 즉시 보고.
서서히 섭취량을 증가시킨다.
변 냄새를 줄이기 위해 양배추, 양파, 마늘, 달걀 섭취 등은 줄이거나 자제.
규칙적인 식사로 장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게 하고, 충분한 수분 섭취 및 섬유소 권장.
50세 이상 정기검진.
5. 주요 경계
식도 ~ 위의 경계: 분문.
위 ~ 십이지장의 경계: 유문.
6. 구강암
흡연은 구강암 발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.
아주 뜨거운 음식이나 물 섭취가 위험요인이다.
의사소통법: 제스처, 메모장, 호출기 필요.
7. 위염
위 점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.
자극적인 음식, 약물 섭취,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 등이 원인.
증상: 상복부 불편감 및 통증, 오심, 구토, 소화불량.
과음, 과식을 피하고 금식하며 정맥으로 수액 공급.
8. 소화성 궤양
위 점막, 유문, 십이지장 점막 일부가 괴사되는 것.
흡연, 헬리코박터균, 아스피린 복용 후 자극 등이 원인.
증상: 십이지장 궤양 → 공복 시 통증.
9. 위 천공
갑작스러운 상복부의 통증, 오른쪽 어깨 방사통.
응급상황으로 즉각적인 수술이 필요하다.
10. 대변검사
위장관 내부의 출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.
11. 위 절제 수술 환자의 간호
수술 후 의식이 돌아오면 반좌위를 취해주고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.
삽입한 위관은 장의 연동운동 후 제거한다.
금식 → 물 → 유동식(미음) → 죽(연식) → 경식 → 일반식.
12. 완전 위 절제 수술 환자의 경우
비타민 B₁₂가 흡수되지 않아 악성빈혈이 생길 수 있다.
정기적으로 비타민 B₁₂를 근육주사한다.
13. 위암
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, 탄 음식, 가공된 단백질, 흡연 등이 원인.
저 섬유소 식이, 부드러운 식이, 위 절제술, 화학요법, 방사선요법 등이 있다.
14. 충수염(충수돌기염)
맹장 아래 충수돌기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.
증상: 미열, 구역, 구토, 맥버니 부위의 통증.